[과학문화전시서비스 역량강화지원사업 1단계]
"인공지능(AI) 기반 인터랙티브 미디어 기술을 이용한 차세대 과학문화유산 전시콘텐츠 개발"
연구과제 목표 및 개발내용/ 기대효과
연구개발목표 및 개발 내용
- 관람자의 모션과 음성인식 기반 차세대 양방향 전시기술개발 및 미디어아트 플랫폼 구축
- 최첨단 3D 미디어아트 기술을 활용 과학문화유산에 대한 작동원리, 탄생 배경, 역사적 가치를 관람자에게 직관적이고 자연스럽게 전달 할 수 있는 콘텐츠 개발
- 관람자의 빅데이터 정보 및 AI기술 기반 맞춤형 과학문화유산 콘텐츠 제공으로 우수 과학문화유산의 가치 재창조
- 국립광주과학관 메인 아트 홀 전시 사용화
기대효과
- 과학문화유산, 자연·문화 소재로 다양한 첨단 미디어아트 콘텐츠 플랫폼으로 확장 가능
- 인터랙티브 미디어기술 기반으로 과학문화유산 전시플랫폼 전국 과학관 제공
- 가상 환경에서 생동감 있는 콘텐츠 테마와 재미 요소로 체감형 교육적 효과 극대화
- 전시방식의 물리적 고비용 구조를 극복할 수 있는 최적의 기술 제공
- 한류문화 흐름에 따라 우리의 위대한 과학문화기술을 전 세계에 알릴 수 있는 계기 마련
연구개발 시스템 개요
시정소식 목록 - 단계, 1단계, 2단계
1단계 2018~2019 |
- 과학문화유산 자료조사
- 관람자 선택형 콘텐츠 UX 시나리오 설계
- 전시 콘텐츠 서비스 GUI, NUI 연구 및 설계
- 전시 콘텐츠 서비스를 위한 AI 아바타 모델 설계
|
- AI 과학문화 전시 콘텐츠 UX 설계 및 3D 모델·렌더링 제작
- 관람자 선택형 UX 인터렉션 설계 제작
- Science Principle UI 제작
- Science Principle UI 제작
- 전시콘텐츠 GUI 및 Effect제작
- 전시 콘텐츠 서비스를 위한 AI아바타 모델 제작
|
- 3D Stereo 기반 실시간 모션 인식 플랫폼 기술개발
- 멀티모달 인터랙션 기술개발
- 2세대 Kinect 2.0기반 NUI 기술 개발
- 3D 편광방식의 콘텐츠 멀티모달 인터페이스 기술개발
|
- 오픈 API AI 음성인식기 및 음성동작 개발
- 음성 AI기반 아바타의 인터랙티브 대화 정확도 향상
- 빅데이트 기반 인공지능 인식기술
|
- 시스템 구현·연동 테스트
- 프로젝터 기반의 3D Stereo 디스플레이 제작기술 구현
- 전시 콘텐츠 과학관 HW 연계성 점검
- 콘텐츠, GUI, NUI, 만족도 평가
- 기술 이슈 발견 및 수정 보완
- 최종 전시콘텐츠 실적물 도출
|
2단계 2020~2021 |
- 과학문화유산 자료조사
- 콘텐츠 맞춤형 UX서비스 설계
- 전시 콘텐츠 서비스 GUI, NUI 연구 및 설계
- 전시 콘텐츠 서비스를 위한 AI 아바타 모델 설계
|
- AI 과학문화 전시 콘텐츠 UX 설계 및 제작
- UX 인터렉션 설계 제작
- Science Principle UX 제작
- 전시 콘텐츠 GUI 제작
- 전시콘텐츠 서비스를 위한 AI 아바타 캐릭터 텍스처링 및 쉐이딩 품질 고도화
|
- AI 음성대화 인식 기반 3D Stereo 인터렉션 기술개발
- 멀티모달 인터랙션 기술 고도화
- 2세대 Kinect 2.0기반 NUI 기술 고도화
- 3D 편광방식의 콘텐츠 멀티모달 인터페이스 기술 고도화
|
- 오픈 API AI 음성인식기 및 음성동작 개발
- 음성 AI기반 아바타의 인터랙티브 대화 고도화
- 빅데이트 기반 인공지능 인식기술 고도화
|
- 시스템 구현·연동 테스트
- 프로젝터 기반의 3D Stereo 디스플레이 제작기술 고도화
- 전시 콘텐츠 과학관 HW 연계성 점검
- 콘텐츠, GUI, NUI, 만족도 평가
- 기술 이슈 발견 및 수정 보완
- 최종 전시콘텐츠 실적물 도출
|
과학문화 전시 서비스 1단계 / 첨단 과학기술 집합체 거북선
과학문화 전시 서비스 1단계 / 첨단 과학기술 집합체 거북선
- 거북선의 기능
- 거북선 선체 판옥선의 특징
- 한선(韓船) 기술, 명종때 왜구들을 물리치기 위해 만든 특수 전함
- 무기 탑재능력이 왜선보다 높음, 견고성 재료의 연결성
- 이순신의 활약
- 나대용의 조선 기술
- 판옥선 최고의 기술자, 옥포해전, 사천해전, 한산도해전에 참가, 창선과 해추선 고안
- 거북선에 총통 탑재
- 총통은 최무선 화약 개발이후, 세종때 지자총통, 황자총통, 현자총통 개발
- 임진왜란 승자총통 사용, 총통신기전이 개발됨
- 화차는 문종화차, 망암화차로 계승 발전 40개의 승자총통이 한꺼번에 발사됨
- 임진왜란에 사용된 신기전
- 신기전은 소신기전, 대신기전, 산화신기전으로 지금의 로켓과 같은 기술임
- 신기전은 화약이 타면서 만들어지는 연소가스가 뒤로 분출되는 반작용으로 날아가는 구조임
- 임진왜란 행주대첩에 화차(火車)와 총통 등을 사용, 이순신 해전때 적의 위치를 파악에 사용
시나리오 시각화 예시
과학문화 전시 서비스 1단계 : 거북선